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binary search
- deque
- MVC패턴
- 고정소수점
- greedy
- sieve
- 자료구조
- CSSOM
- 유클리드 호제법
- 모킹
- async
- 검색엔진최적화
- React
- 큐
- Eratosthenes
- 깊이 우선 탐색
- 탐욕 알고리즘
- 알고리즘
- content delivery network
- MSW
- 구글서치콘솔
- 연결리스트
- 에라토스테네스
- mock service worker
- 부동소수점
- 그리디 알고리즘
- https
- 탐욕법
- 분산 네트워크
- await
- Today
- Total
목록WEB & CS (5)
갱주

📌고정소수점 vs 부동소수점: 실수 표현 방식 비교컴퓨터에서 실수를 표현하는 방법에는 고정소수점(Fixed-point)과 부동소수점(Floating-point) 두 가지가 있습니다. 두 방식은 실수 값을 저장하고 계산하는 방식에서 차이를 보이며, 각기 다른 장단점을 가집니다. 이 글에서는 고정소수점과 부동소수점의 차이점을 살펴보겠습니다.1. 고정소수점 (Fixed-point)고정소수점 방식은 소수점의 위치가 고정된 형태로 실수를 표현합니다. 예를 들어, 소수점이 항상 특정 자리에 위치한다고 가정하고, 이를 기준으로 정수 부분과 소수 부분을 나누어 값을 나타냅니다. 고정소수점은 일반적으로 소수점 자릿수를 고정할 수 있는 시스템에서 사용됩니다.표현 예시:소수점 위치가 고정된 값으로 12.34라는 숫자를 나..

1. 요청 (Request)사용자가 URL을 입력하거나 링크를 클릭하면 브라우저는 해당 웹 페이지를 요청합니다. 이 과정에서 브라우저는 DNS(Domain Name System) 서버에 요청을 보내 도메인을 IP 주소로 변환합니다. 이렇게 해서 얻은 IP 주소를 통해 서버에 HTTP 요청을 전송하게 됩니다.2. 응답 (Response)서버는 요청을 처리한 후 HTTP 응답을 반환합니다. 이 응답에는 HTML, CSS, JavaScript, 이미지 등 다양한 자원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이제 브라우저는 이 응답을 바탕으로 웹 페이지를 구성해 나갑니다.3. 렌더링 (Rendering) ⭐렌더링은 다음과 같은 여러 단계로 나뉩니다:HTML 파싱브라우저는 서버로부터 받은 HTML 파일을 파싱하여 DOM트리를 생..

📌CDN (Content Delivery Network) CDN은 Content Delivery Network의 약자로, 전 세계에 분산된 서버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에게 콘텐츠를 더 빠르고 안정적으로 전달하는 시스템입니다. 웹사이트의 이미지, 동영상, CSS, JavaScript 파일 등 정적 자원들을 효율적으로 전송하는 것이 주된 역할입니다.🧐CDN의 주요 역할과 작동 방식콘텐츠 캐싱: CDN은 여러 지역에 분산된 서버에 웹사이트의 정적 콘텐츠를 캐싱합니다. 사용자가 웹사이트에 접속하면, CDN은 사용자와 가장 가까운 서버에서 해당 콘텐츠를 전달합니다. 이렇게 하면 원본 서버에서 직접 요청을 처리할 필요가 없어, 콘텐츠 전달 속도가 크게 빨라집니다.전송 속도 향상: CDN을 사용하면 콘텐츠가 사용..

📌DNS (Domain Name System)DNS는 Domain Name System의 약자로, 인터넷에서 사용되는 도메인 이름을 IP 주소로 변환해주는 시스템입니다. 쉽게 말해, DNS는 사람이 읽기 쉬운 주소(예: www.example.com)를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숫자 형식의 IP 주소(예: 192.168.1.1)로 바꿔주는 "인터넷의 전화번호부" 역할을 합니다.❗DNS의 주요 역할도메인 이름을 IP 주소로 변환: 인터넷에서 각 컴퓨터나 서버는 고유한 IP 주소를 가지고 있는데, 이 숫자를 일일이 기억하는 것은 불편합니다. 그래서 www.example.com 같은 도메인 이름을 입력하면 DNS가 해당 도메인에 연결된 IP 주소로 변환해줍니다. 그 결과, 사용자는 복잡한 IP 주소를 기억하지..

📌HTTP란?HTTP란 웹에서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정보를 주고받는 방식, 즉 "통신 규약"입니다.브라우저가 서버에 요청을 보내고, 서버는 요청에 맞는 데이터를 응답하는 과정이 HTTP를 통해 이루어집니다.🧐HTTP 특징 요청과 응답: 클라이언트(사용자)가 서버에 요청을 보내면, 서버는 그에 대한 응답을 반환함. 클라이언트는 요청 메서드(GET, POST, PUT, DELETE 등)를 사용하여 원하는 동작을 서버에 전달하고, 서버는 상태 코드와 데이터를 포함한 응답을 반환한다.비연결성: HTTP는 요청과 응답이 끝나면 클라이언트와 서버의 연결을 끊는다. 요청이 있을 때만 연결하고, 그 후엔 다시 연결을 끊는 방식. (각각의 요청은 독립적으로 처리됨)무상태성: 한 번의 HTTP 요청과 그 다음 요청은 서..